p95
체계적인 미장센 분석
1. 지배요소 : 우리의 눈은 처음에 어디로 굴리는가? 왜그런가?
2. 조명키 : 하이키? 로우키? 하이콘트라스트인가? 이것의 혼합인가?
3. 쇼트와 카메라 근접도 : 어떤 유형의 쇼트인가? 카메라가 행위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가?
4. 앵글 : 우리(와 카메라)는 대상을 올려다보는가 내려다 보는가? 아니면 카메라가 중립적(아이레벨)인가?
5. 색상값 : 지배적인 색상은 무엇인가? 대조가 되어 돋보이는 것이 있는가? 색체의 상징성이 있는가?
6. 렌즈, 필터, 필름 : 촬영된 대상에 대한 왜곡이나 논평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?
7. 보조 콘트라스트 : 지배 요소를 본 뒤에 주로 눈이 멈추는 곳은 어디인가?
8. 밀도 : 얼마나 많은 시각 정보가 영상 속에 제시되어 있는가? 그 질감은 황량한가, 온건한가, 아니면 매우 상세한가?
9. 구도 : 이차원적인 공간이 어떻게 분할되고 조직되는가? 기초를 이루는 디자인은 무엇인가?
10. 형식 : 열려 있는가 또는 닫혀 있는가? 영상은 씬이라는 단편을 임의로 분리시키는 창문의 역할을 하는가? 아니면 프로시니엄 무대처럼, 시각 요소들의 주의 깊게 배열하고 균형을 이루게 하는가?
11. 프레임짜기 : 꽉 짜여 있는가 아니면 느슨한가? 인물들이 돌아다닐 공간이 없는가, 아니면 방해물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가?
12 깊이 : 얼마나 많은 심도에서 영상이 구성되었는가? 배경이나 전경이 중경에서 어떤 식으로든 의미를 전달하고 있는가?
13. 인물 위치 : 인물들이 프레임화된 공간의 어떤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가? 가운데? 위쪽? 밑부분? 가장자리? 왜 그런가?
14. 무대화된 자세 : 인물들은 어떤 방식으로 카메라와 마주하고 있는가?
15. 인물근접도 : 인물들 사이에 어느 정도의 공간이 있는가?
체계적인 미장센 분석
1. 지배요소 : 우리의 눈은 처음에 어디로 굴리는가? 왜그런가?
2. 조명키 : 하이키? 로우키? 하이콘트라스트인가? 이것의 혼합인가?
3. 쇼트와 카메라 근접도 : 어떤 유형의 쇼트인가? 카메라가 행위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가?
4. 앵글 : 우리(와 카메라)는 대상을 올려다보는가 내려다 보는가? 아니면 카메라가 중립적(아이레벨)인가?
5. 색상값 : 지배적인 색상은 무엇인가? 대조가 되어 돋보이는 것이 있는가? 색체의 상징성이 있는가?
6. 렌즈, 필터, 필름 : 촬영된 대상에 대한 왜곡이나 논평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?
7. 보조 콘트라스트 : 지배 요소를 본 뒤에 주로 눈이 멈추는 곳은 어디인가?
8. 밀도 : 얼마나 많은 시각 정보가 영상 속에 제시되어 있는가? 그 질감은 황량한가, 온건한가, 아니면 매우 상세한가?
9. 구도 : 이차원적인 공간이 어떻게 분할되고 조직되는가? 기초를 이루는 디자인은 무엇인가?
10. 형식 : 열려 있는가 또는 닫혀 있는가? 영상은 씬이라는 단편을 임의로 분리시키는 창문의 역할을 하는가? 아니면 프로시니엄 무대처럼, 시각 요소들의 주의 깊게 배열하고 균형을 이루게 하는가?
11. 프레임짜기 : 꽉 짜여 있는가 아니면 느슨한가? 인물들이 돌아다닐 공간이 없는가, 아니면 방해물 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가?
12 깊이 : 얼마나 많은 심도에서 영상이 구성되었는가? 배경이나 전경이 중경에서 어떤 식으로든 의미를 전달하고 있는가?
13. 인물 위치 : 인물들이 프레임화된 공간의 어떤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가? 가운데? 위쪽? 밑부분? 가장자리? 왜 그런가?
14. 무대화된 자세 : 인물들은 어떤 방식으로 카메라와 마주하고 있는가?
15. 인물근접도 : 인물들 사이에 어느 정도의 공간이 있는가?
'Leaf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제 사라마구, 『눈먼 자들의 도시』/『죽음의 중지』 (2) | 2010.01.19 |
---|---|
존 버거 『본다는 것의 의미』 (1) | 2010.01.19 |
김연수, 『세계의 끝 여자친구』 (0) | 2010.01.07 |
니체와 진은영/ ‘니체,영원회귀와 차이의 철학’ (1) | 2009.11.14 |
레비나스 - 알렝 핑켈크로트 『사랑의 지혜』 (8) | 2009.07.23 |